- 급속하고 복잡한 변화 속에서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21세기를 맞이해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들이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갈 인재 양성을 위해 창의성, 협업능력, 자기주도 학습능력 등의 핵심역량을 교육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
- 우리나라에서도 대학이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전공능력과 함께 핵심역량을 함양이 필요성에 대한 사회ㆍ경제적 요구의 증대
- 대학들이 대학과 전공의 특성을 살려 미래 핵심역량을 교육하기 위해서는 사회 경제적 요구의 변화와 대학의 상황 및 역할 변화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 및 성취도 평가 모형 개발이 필요함
- 이에 따라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지식·인재 양성기관으로서의 우리대학의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입학과 동시에 신입생들의 핵심역량 수준을 진단하고, 중간 및 졸업시점에 학생들의 핵심역량 수준의 변화 및 발전결과를 판단할 수 있는 평가체계를 수립함
핵심역량 평가체계 안내

핵심역량 진단평가 실시
- 목적
- 입학시점에 신입생들의 핵심역량 수준을 정확하게 진단하여 학생들에게 필요한 핵심역량 기반의 교육내용을 제공하고,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 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함으로써 교육의 질을 제고하고 교육성과를 창출하는데 목적을 둠
- 대상
- 신입생
- 기간
-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기간 실시
핵심역량 성취도평가 실시
- 목적
- 재학생 대상 전체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성취도 평가를 통하여 교육의 질 개선 및 혁신적 교육성과를 창출하는데 목적을 둠

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및 운영
